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O2가스 탄뎀 아크용접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전극 소모식 불활성가스 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 GMAW)은 연속적으로 송급되는 와이어가 아크의 높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아크 기둥을 거쳐 용융지로 이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용융금속이 불활성가스의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면 용접부에 기공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가스가 알맞게 공급될 수 있도록 분사기, 절연체, 패킹용 고무, 가스호스, 솔레노이드 등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용접와이어의 표면 상태는 용접 시 스패터의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가 된다. 동도금을 하지 않은 와이어는 종래의 동도금 와이어에 비해 스패터의 발생량이 크게 줄어든다. 즉 표면에 동도금을 하지 않은 용접와이어는 용적의 이행 시 용적으로 산소의 침입이 용이하여 용접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동도금을 한 용접와이어와 비교하면 용적의 입자가 작아지고 스프레이화가 쉽게 되어 단락이 없는 스프레이 이행모드를 갖게 된다.

 

가스메탈 아크용접에서 과열된 용적은 모재에 과도한 열을 전달해줌으로써 용접열영향부를 확장시키고 용접변형을 증가시킨다. 또한 용접열에 의해 발생하는 용접변형은 용접부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자동차산업, 가전산업과 같이 두께가 얇은 소재를 용접하는 분야에 사용하는 용접기를 개발하는 경우에는 이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보호가스를 결정할 때에는 보호가스의 가격, 용접 시 적용성능(overall welder appeal), 생산성(impact on productivity) 그리고 품질(weld quality) 등을 충분히 분석한 후 최적의 보호가스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희토류 합금원소는 중국 등의 신흥공업국에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이 희소하고 생산량도 보통 금속에 비하여 대단히 소량으로 수출국의 규제에 따라 수요공급에 큰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첨가하는 용접와이어를 개발할 때는 대체 재료의 개발도 함께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片岡時彦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2)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8~7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