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압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유동응력 예측

전문가 제언

마그네슘(Mg)은 공학용 금속재료 중에서 가장 가볍기 때문에 중량 감소가 필요한 수송 분야에 적합하다. 자동차용 Mg 부품의 제조에는 용탕을 속이 빈 금속주형의 내부에 고압으로 주입하는 다이캐스팅(HPDC)법이 주로 사용된다. HPDC법에서는 냉각속도가 빠른 주물 외곽부의 결정립이 중심부보다 훨씬 미세하다. 이 미세조직의 지역적 차이가 연성이나 강도와 같은 합금의 기계적 성질의 불균형을 초래하므로 그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적인 기계적 성질의 측정에는 마이크로/나노스케일의 압입(indentation)시험이 통상적 인장시험보다 더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AM60, AZ91, AE44의 세 가지 합금을 HDPC와 중력주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주조하고, 서로 다른 냉각속도로 응고된 주물의 각 부위로부터 시편을 채취하여 결정립도와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넓은 범위의 결정립도에서 결정립도와 압입시편의 기계적 성질(항복강도와 유동응력)이 Hall-Petch 관계식을 따르는 것이 밝혀졌다.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중시하는 기계적 성질은 연성이다. 연성은 결정립의 미세화, 기공률의 감소 등 미세조직의 변화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본문에 간단히 언급된 HPDC 주물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미리 응고된 수지상의 a상도 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상 주위에 결함이 형성되기 쉽고, 액상의 유동을 방해하여 기공생성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HPDC에 대한 연구는 주물의 미세조직과 합금의 기계적 성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는 26개의 회사, 연구소, 대학 등이 참여하는 한국마그네슘기술연구조합이 결성되어 있고, 그 중 7개 회사가 다이캐스팅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다이캐스팅에 대한 공식적 연구과제는 전무하였고, 2013년에 들어서서야 (주)장원테크가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IT산업용 부품개발 연구를 시작하였을 뿐이다. 자동차용 마그네슘합금 부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이 분야의 이론적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연구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P. Sharifi, Y. Fan, J. P. Weiler, J. T. Woo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05()
잡지명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7~243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