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용접의 진화 : 용접기의 전류파형 제어
- 전문가 제언
-
○ 최근의 용접시스템과 용접기기는 CMT, TWIN, SPRAY ARC, LASER HYBRID, PLUS, SHORT ARC 등의 활용을 통해 아크전압의 안정화, 스패터 발생의 저감, 아크 스타트성의 개선을 통해 용접생산성과 효율을 높이고 전원 변압기의 소형?경량화와 에너지절감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 또한 고속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출력제어의 고속?고정도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속 통신장치 등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어 용접로봇의 조절기(Teach Pendant)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채택되는 등 용접라인의 공정?품질관리의 시각화, 고품질?고효율의 방향으로 용접기기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 2개의 CMT 토치를 결합하여 개발된 고성능 탄뎀 용접시스템(CMT TWIN)은 용융용접과 육성용접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고속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두 전극 간에 통전하는 전류파형동기제어 형식의 GMA 탄뎀 용접에 비해 용접능률이 뛰어나다.
○ 용접기기의 글로벌화에 맞추어 새로이 개발되는 인버터 용접전원은 용접성능 외에도 충분한 방진성과 높은 냉각효율에 의해 충분한 사용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속 용접에서 보호가스,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아크특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모리 기억용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 국내의 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가스메탈 아크용접법의 용접전원제어, 전류파형제어 등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통신을 통하여 모터를 제어하므로 연장선에 대한 전선수를 줄여 원가절감을 가져오는 제품을 개발하였다. 한편 고품질 용접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핵심뿌리기술에 ‘에너지 저감형 용접전원 시스템 기술’, ‘스패터 저감 파형제어 용접시스템 기술’, ‘원격제어 용접시스템 기술’ 등의 과제들이 포함되는 등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 용접기기에 대한 기술개발이 중요하다.
- 저자
- 惠良哲生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2(2)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6~6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