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성자검출기용 디지털 데이터 수집 계통

전문가 제언

데이터수집계통(DAS: Data Acquisition System)은 일반적으로 현장의 계측기(sensor)에서 들어온 신호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중앙제어실에서 지시/기록/경보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수집계통은 핵물리실험에서 특히 디지털 데이터수집계통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것은 아날로그에 비하여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디지털 데이터수집인 경우 알파입자 파일업수정(alpha particle pileup correction)이 가능하고 또한 전자모듈을 줄일 수 있어 전자드리프트에 대하여 매우 안정성이 좋게 된다.

 

한국형 표준원전의 경우 발전소 데이터 수집계통은 발전소 감시계통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원전의 여러 계통에서 수집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등을 처리하여 발전소 컴퓨터계통에 전송하고, 부적절 노심냉각 감시계통의 신호, 고정노심검출기계통의 신호를 처리하여 컴퓨터 계통에 전송하여 발전소 상태를 감시하도록 한다.

 

중성자 에너지는 비행시간 기법(ToF: Time of Flight)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이것은 비행거리와 비행시간을 알 수 있으면 중성자에너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펄스형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0㎱와 4㎱ 샘플링주기의 디지타이저에 기반한 서브나노초 시간분해능으로 신뢰성 있는 ToF를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 수집계통을 개발하였다. 이런 방법은 핵물리실험에서 중성자 검출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국내원자력발전소의 경우 플랜트감시 및 경보계통(PMAS: Plant Moni- toring and Alarm System)의 핵심 구성요소인 데이터수집계통(PDAS: Plant Data Aquisition)은 플랜트 상태감시, 제어 및 방사선환경 모니터링 등 중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국형 표준원전부터는 DAS 계통에 필요한 S/W를 국내기술로 개발 설계하여 제공하고 있다. 국내업체로는 우리기술(주) 및 비앤에프테크놀로지(주)가 이와 관련한 H/W와 S/W를 제공하고 있으나 주요 핵심부품(H/W)은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자립도가 요구된다.

저자
S.V. Paulauska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37()
잡지명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28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