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균에 의한 원유 생분해에서 계면활성제의 성질과 특성

전문가 제언

원유와 석유류 제품은 가장 흔한 환경오염물질이다. 또 기름 유출은 바로 환경에 장기적 손상을 입힌다. 탄화수소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방법으로 생물학적 방법이 물리화학적 방법보다 점점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환경친화적이고, 값이 싸고 능률적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효과적인 바이오 계면활성제 생산자이자 탄화수소 분해자인 Bacillus methylotrophicus USTBa 균주를 단리하고 특성화 하였으며, 최적 배양조건을 확인하여 원유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효과적인 생물정화제가 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저자들은 탄화수소 분해 중에 생산한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과 세포 소수성 측정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생산된 계면활성제는 물의 표면장력을 72에서 28mN/m까지 감소시키고 임계미셀농도는 35mg/ℓ, 원유에 대한 유화활성은 90%를 나타냈으며, 열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특성이 원유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정화 용도에 적합하였다.

 

우리나라의 바이오기술 연구는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생명공학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연구과제와 연구비가 지원된다. 바이오기술 연구범위가 매우 넓어 미생물의 생물정화 이용에 관한 연구는 많지는 않으나 여러 연구기관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토양ㆍ지하수 오염방지기술 개발사업 등도 진행되고 있다. 또 연구결과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 의하여 산업화되고 있다. 해양경찰청의 생물정화제제 형식승인을 받은 업체가 ㈜에코필 등 10개 업체가 된다.

 

우리나라는 바이오산업을 21세기 주력산업으로 육성,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선진국형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써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이다. 의약품, 화학, 식품, 섬유, 환경 등 각 분야에서 빨리 좋은 결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저자
Radhika Chandanker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22()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0~148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