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성분의 안전성과 유효성
- 전문가 제언
-
○ 본 보고서는 일본에서 건강식품의 안전성·유효성 정보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식품이나 식품소재에 관한 유효성과 안전성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내용과 식품의 기능성에 관한 최근의 화제 등을 소개하고 있다.
○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식품은 동물시험, 인체 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하여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고 있다. 이런 기능성 원료로 만든 제품이 기능성식품이다.
○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은 특정 기능성을 가진 원료, 성분을 사용해서 안전성과 기능성이 보장되는 일일 섭취량이 정해져 있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전에 과학적으로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다.
○ 식약처에서 20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에 대한 발표에 의하면 총생산액은 1조4,091억 원으로 2011년(1조3,682억 원) 대비 3% 증가하였지만, 예년보다 둔화세를 나타냈다. 이는 국내외 전반적 경기침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수요 감소 및 중저가 제품 선호 등의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해 섭취하는 것이며, 의약품처럼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를 보기 위함이 아니므로, 제품 구매 시 100% 기능 향상이나 특정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저자
- Umegak Keiz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55(1)
- 잡지명
- 食品と容器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4~40
- 분석자
- 이*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