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용 수소 에너지의 실용화 보급에 있어서 대규모 저장 운송매체 기술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새로운 에너지인 수소이용의 필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수소저장과 이용에 관한 연료전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5년 미국의 GE사는 10년 간에 걸쳐 수소연료 터빈을 개발하고, Mitsubishi중공업은 저칼로리 가스용 터빈을 개발하고 있다. 일본의 연간 수소 소비량은 약 200억N㎥ 이상이며 석유 정제 및 석유화학, 반도체 제조 등, 제품의 제조공정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 연료전지 자동차(FCV: Fuel Cell Vehicle)에 대처하기 위하여 Toyota자동차, Nissan자동차, Honda기연공업이 추진하고 있다. 3사 모두 전 세계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2013년 미국과 유럽을 포함시킨 FCV개발·판매가 상정되었다. Toyota자동차는 BMW, Nissan자동차는 Daimler 및 Ford, Honda기연공업은 GM과 기술을 제휴하고 있다. 2012년도에 과 Saitama현에서는 상용화를 내다본 상용 저장소가 3곳 건설되었다. 독립행정법인 신에너지·산업기술 종합개발기구(NEDO)의 지역 수소 공급 인프라 기술·사회 실증 계획에 있어서 수소 공급·이용기술 연구조합(HySUT)과 자치단체가 총 17곳에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2014년에 한국은 2015년 4,000억 원 이상의 신규시장을 창출하고 세계 5~6위권의 기술력 확보가 목표로 `고효율 수소에너지 제조, 저장, 이용 기술개발 프론티어 사업단´을 출범시켰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1998년에 수소액화 및 저장시스템 개발, 1997년 경북대는 태양광에 의한 물에서 수소제조 기초연구, 성균관대는 1998년부터 2000년에 걸쳐 수소자동차용 수소기관 개발관련의 과제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 한국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수소분야 총 15과제에 48억 원의 연구비가 투자돼 정부와 학계, 연구계가 공동연구에 나섰다. 2020년까지 국내 수송에너지의 20%를 현재 석유 등 화석연료에서 수소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1989년에 수소에너지 학회가 창립된 후 대체에너지, 차세대 자동차, 자동차 배출가스 오염 감소기술, 무공해 수소 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주요 정책 사업으로 선정했다. 향후 전 세계적인 연계에 힘입어 수소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감소의 가속화가 기대된다.
- 저자
- Yoshimi Oka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2(6)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2~66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