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처리형 알루미늄합금 다이캐스팅주물의 용체화 처리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 기술은 처음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나 유럽에서 많은 발전을 하였으며 일본은 유럽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오늘날 알루미늄합금을 위시한 경합금 성형기술로 크게 발전하여 자동차나 전자기기 및 일반 기계부품의 제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자동차 한 대당 다이캐스팅 부품은 약 100kg이 되며 매년 다이캐스팅 부품 사용량은 증가추세에 있다. 자동차에서는 엔진블록, 실린더 헤드, 미션케이스 등에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 하체부위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강도와 인성이 요구되는 부품으로써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의 주요 화학성분은 Si, Mg 및 Cu 등이며 Mn이 0.2~0.4%, Fe가 0.6~1.3%까지 합금된다. 이와 같이 합금되는 이유는 본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4(용체화처리), T6(용체화처리 후 뜨임처리), T7(용체화처리 후 안정화처리) 처리를 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인성과 내식성 및 치수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Si를 합금하는 것은 유동성이 높아지기도 하나 Mg와 공존할 때 Mg2Si를 형성하여 시효처리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며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Mg은 Si 외에도 Zn이 공존하면 시효처리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품은 빠른 속도로 제품 주입이 되므로 공기의 혼입이 많고, 금형 내에서 발생한 가스가 미처 빠져나가지 못해 가스의 혼입이 많아 열처리나 용접 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열처리 제품의 가스함량은 1~5cc/100gAl를, 용접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1~2cc/100gAl을 유지해야 한다.

 

국내의 다이캐스팅 제품 생산방식도 이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품질 다이캐스팅 프로세스인 스퀴즈 다이캐스팅, 층류충전 다이캐스팅, 세미 솔리드 다이캐스팅, 고진공 다이캐스팅 등으로 발전하여야만 더욱 많은 수요가 창출될 것이다.

 

저자
Nakayama Sakaehiroshi, Endo Naoy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9(3)
잡지명
型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0~64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