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로원과 유치원에서 일하는 식품취급자의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 -포르투갈의 Porto 지역-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는 양로원이나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식품취급자의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을 평가해서 이들에 대한 식품안전 지식을 향상하기 위해 양로원이나 유치원에서 시행되었다. 식품위생에 관한 식품취급자의 지식 향상은 식품산업에서 소비자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
○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처장을 비롯한 6개 지방처장이 직접 1일 식품위생 감시원으로 활동한 가운데 2014년 4월 7일부터 10일간 식품 매개 질병 예방을 위해 합동단속을 했다. 전국 청소년 수련원 254개 시설에서 25개 시설, 김밥 등 도시락 업체 972개 업소에서 60개 업소 및 시회복지시설 1,453개 시설에서 112개 시설 등에서 총 197건의 식품위생법 위반을 적발하여 각각 감독청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 국내 연구로는 2010년에 신은 “단체 급식 종사자와 일반주부와의 영양지식·위생지식 및 실행도 차이분석”을 했고, 2005년에 이는 “단체급식 HACCP 시스템 적합성 검증과 개인위생관리 및 채소 소독 효과 분석”을, 2008년에 김은 “단체급식의 HACCP 적용에 따른 종사자의 위생 인지도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는 등 많은 연구가 있다.
○ 보건복지부 2004년 ‘어린이 단체급식 품질개선 연구’에서 위생상태를 점검한 결과 전체 평균점수는 불량을 겨우 넘긴 60.9점이었으며, 지난 4년간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어린이집 851개 시설, 유치원 419개 시설 등에 행정처분을 내렸다.
○ 일반적으로 건강에 취약 계층으로 볼 수 있는 어린이와 어르신들이 상주하는 유치원, 어린이집과 양로원 등의 단체급식소의 식품위생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식품 매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취약한 단체급식소에 근무하는 식품취급자의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을 향상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이들에 대한 교육과 주기적인 훈련의 강화가 시급하다. 선진 교육기법이 반영된 새로운 식품위생 교육의 매뉴얼의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 저자
- Ricardo Bessa Martin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42()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4~62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