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안전에 관련된 훈련을 받은 식품취급자의 재교육 효과-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전문가 제언

이 연구는 식품안전에 대한 식품취급자의 지식을 향상하기 위해 정기적인 재교육 훈련을 시행할 필요성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캐나다 BC에서 시행하는 FOODSAFE 교육을 이수한 사람과 또 재교육을 받은 식품취급자가 개선된 식품안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FOODSAFE 프로그램에서 재교육은 식품안전 지식을 향상하기 위해 예측한 것이다.

 

FOODSAFE 프로그램은 미국 뉴욕 주가 시행하고 있는 제도와 달리 모든 식당 등 편의점에서 가공음식물을 취급하는 업소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다. 교육내용이 5년마다 갱신되고, 한인들은 따로 한글로 된 교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언어의 불편한 점은 없다. 교육비는 1일 약 100불로 알찬 교육이 진행된다.

 

국내 연구로는 1969년 임이 “식품취급자들의 손 오염에 관한 위생학적 실태조사”를 필두로 2009년 황은 “호텔 조리사의 주방위생에 관한 중요도 인식이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2013년 윤 등은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식품접객업체 종업인 및 위생시설 조사” 등 다수 있다.

 

특히 2005년 유는HACCP를 중심으로 레스토랑 위생관리 기준의 중요도 차이에 관한 연구”에서 식품의 생산에서부터 안전성 여부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HACCP 시스템 적용으로 위생관리 방안을 연구했다.

 

많은 사람의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식품취급업소에서 식품취급자의 식품안전 지식은 특히 중요하다. FOODSAFE은 교육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식품의 안전성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포장된 식품을 상자째로 무심코 바닥에 두면 식품감독관이 즉석에서 많은 양을 폐기처분을 하는가 하면, 생산 초밥의 저장온도를 검사하여 바로 처리한다. 근래 우리의 외식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어 우리도 교육뿐만 아니라 FOODSAFE 프로그램과 같은 종합적인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 하겠다.

저자
Lorraine McIntyr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35()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7~141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