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비자들은 식품관리를 통해 무엇을 기대하고 무엇을 얻나:생선 초밥의 미생물학적 질에 대한 덴마크의 사례 연구

전문가 제언

이 연구는 덴마크에서 생선 초밥의 미생물학적 질과 새로 개발한 이른바 ‘스마일표시 제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흥미 있는 연구이다. 소비자가 식당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데 조리 과정에 대해 식품감독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생선 초밥은 밥에 식초·소금·설탕 등으로 조미하여 그 밥 위에 여러 종류의 날생선을 얹어 먹는 음식으로 영양적인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보통 1인분 10개의 초밥 중량은 약 300g이고 칼로리는 462kcal로서 다이어트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그 제조과정 등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될 수 있어 역시 위생적인 면에 관심사가 되고 있다.

 

2003년 1월 우리의 생선회 음식문화를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여름철의 패혈증 예방을 위한 생선회 HACCP 시스템의 확립 및 보급을 위해 해양수산부 산하 사단법인 한국 생선회 협회가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 또 수산물품질관리법에서 수산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를 두고 품질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국내 연구로는 2009년 조 등이 “유통 중인 생선 초밥의 오염 미생물 분석”을 발표했고, 2002년에 김은 “일본식 식당의 생선 초밥 생산에 대한 HACCP 시스템 적용 연구”를 발표했다.

 

2002~3년 YWCA에서는 서울 시내 백화점, 대형할인점 등에서 판매되는 "생선 초밥에서 식중독균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을 발표해서 생선 초밥이 비위생적인 식중독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생선 초밥은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음식이지만 4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는 위생적인 부담이 될 수 있는 식품이다. 이번에 덴마크에서 실시한 생선 초밥의 미생물학적 질에 대한 새로운 평가연구는 우리도 연구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소비자에게 위생적인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저자
J.J. Leisn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45()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6~80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