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RI 생산: 선형 전자 가속기
- 전문가 제언
-
○ 방사성동위원소(RI; radioisotope)란 불안정 핵이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자발적인 핵분열을 통해 방사선(예: 알파입자, 베타입자, 감마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뜻하며, 방사성핵종(radionuclide)으로도 불리고 있다. 여기서, 동위원소는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양성자 개수는 같지만 중성자 개수가 다른 원소를 말한다.
? 일반적으로, RI는 다음 세 가지 방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1) 원자로에서 핵분열을 통한 생산, 2) 가속기에서 입자 충돌을 통한 생산, 3) 화학적 분리를 통한 생산이 그것이다. 원자로 기반 방식에서는 조사량이 크고, 많은 목표 원소에서 동시 핵반응으로 RI를 생산할 수 있다. 반면에, 가속기 기반 방식은 원자로 방식으로 생산할 수 없는 특정 RI 또는 고품질 RI 등을 생산할 때 활용된다.
○ 의료용 RI는 주로 원자로 또는 사이클로트론(즉, 나선형 입자 가속기)에서 생산된다.
? 중성자-부유 RI(예: 99mTc, 60Co, 192Ir, 131I, 166Ho, 177Lu)는 핵분열 생성물 또는 중성자 포획을 통해 원자로에서 생산되고,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를 갖는다.
? 중성자-부족 RI(예: 18F, 201Tl, 123I, 67Ga)는 (p,xn) 반응 및 (p,α) 반응을 통해 사이클로트론에서 생산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 국내의 가속기를 통한 RI 생산 연구와 관련하여, 2012년에 경북대학교에서는 포항가속기연구소에 있는 100MeV 및 2.5GeV 선형 전자 가속기 설비를 활용하였다. 감마-핵반응 기법(즉, 광중성자 기법)에서는 제동복사 감마선을 사용하여 광중성자 단면적, 핵이성체 생성율비 등을 측정하였고, 중성자-핵반응 기법에서는 펄스형 중성자를 사용하여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향후에는 광중성자 기법 이외에 광양성자 기법 측정 기술도 연구되어야 하고 목표 물질과 RI의 화학적 분리 기술도 개발되어야 한다.
- 저자
- VN Starovoitov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85()
- 잡지명
-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9~44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