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펩티드와 단백질의 PET 방사성 표지화용 [18F]SiFB의 자동화 합성기술

전문가 제언

삼차원적 인체영상을 통한 진단법이 개발된 후에 형태학적 정보 이외에도 분자수준의 생화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생화학적 영상진단법으로 단일광자방출 전산화 단층촬영법(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및 양전자방출 단층촬영법(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이 개발되어 국내외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PET 등을 활용한 영상진단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화 된 의약품을 주입한 후에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농도 측정을 통해 생체 내의 특정한 장기 등에 대한 생화학적 변화를 규명할 수 있기 때문에 선행되는 표지화기술이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에도 이미 연구용 원자로나 사이클로트론이 운용되고 있으며 또한 2004년 이전부터 이들을 이용하는 방사성동위원소 표지화기술이 인하대학교 국가지정연구실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 자료는 단백질과 펩티드의 PET 방사성 표지화용 [18F]SiFB의 자동화 합성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비방사능 및 방사화학적 순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대규모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유망한 기술임을 알리고 있다.

 

한편, [18F]SiFB가 쥐 혈청알부민 단백질(RSA)에 결합되어 얻어지는 [18F]SiFB-RSA의 방사화학적 수율은 90%의 높은 수준이며 따라서 자동화된 합성모듈에 의한 [18F]SiFB가 다양한 인체 영상진단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자료에서 제시한 자동화된 [18F]SiFB 합성기술의 동향은 국내 방사성동위원소 표지화기술 개발 및 산업화분야에 크게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R. Koudih, A. Kostikov, M. Kovacevic, D. Jolly, V. Bernard-Gauthier, J. Chin, K. Jurkschat, C. Wangler, B. Wangler, R. Schirrmach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89()
잡지명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46~150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