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적 토지 이용 변화 - 광고 이상의 도움?
- 전문가 제언
-
‘음식 대 연료’ 논쟁 이후 바이오연료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급격히 변하였다. 2008년 써칭거 등은 바이오연료 생산용 농지 확장으로 촉발된 ‘전 세계 부지용도변경에 의한 온실가스의 우발적 방출’을 다루기 위해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다. 간접적 토지이용변화(iLUC: Indirect Land Use Change)로 알려진 이 개념을 바탕으로 바이오연료의 온실가스 방출인자를 계산하여 그 값을 바이오연료 전생애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혹은 탄소족적(CF: Carbon Footprint)에 간접인자로 추가하도록 제안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연료가 화석연료보다 더 나쁘다’는 기사가 일면을 장식하였다.
iLUC 이면의 과학은 아직 유아기 수준이고 사용 가능한 국제회계표준도 없는 반면, LCA와 CF는 최근 몇십년 사이에 성숙해졌다. 국제적으로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이를 인정하였고, LCA의 헌법인 ISO 14040/42와 같은 국제표준도 있다. iLUC 인자에 대해서는 과학적, 정치적인 분야 모두에서 근본적인 연구와 뜨거운 논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iLCU 인자들이, 실제로 이들을 적용하게 되어있는 LCA와 CF의 과학과 표준에 어떻게 맞추어지는가하는 질문에 대해 깊게 성찰해 본 사람은 없는 것 같다.
- 저자
- Matthias Finkbeiner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62()
- 잡지명
- Biomass and Bio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18~221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