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미니형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

전문가 제언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매우 근접한 2개의 친수성기의 속박으로부터 발생하는 독특한 물성 및 결과로 생기는 미셀특성을 가지고 있어 세제, 유연제, 유화제, 상간 이동 촉매, 살생물제로, 또한 스킨케어 로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광석의 부유선광, 유정채굴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소량의 첨가로 양호한 기능을 발현하며, 탄소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라프트 점이 낮은 이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계면활성 성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제미니형 계면활성제의 기본구조는 친수성 헤드부의 기와 소수성 기로 되는 적어도 2개의 계면활성제 단위가 스페이서라고 부르는 간격 유지부에 의해 친수성기 부근에서 상호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아조벤젠 골격으로 하는 제미니형 게면활성제로 4,4‘-비스(트리메틸암모늄헥실옥시)아조벤젠브로미드 등이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아미노-트리실록산 제미니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부탄-1,4-비스(디메틸-(3-(3-아미노프로필트리실록산-3-일)-프로필)-암모늄브로미드)(BBAB)를 제조하고, 카올리나이트, 피로필라이트 및 일라이트 광물상에서 부유 능력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의 계면활성제 산업은 세제분야, 화장품 분야, 공업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세제분야는 기초 원료를 사용해 단순한 화학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비교적 대규모 생산체계를 갖고 있으나 공업용 분야의 경우, 소량 다품종의 각종 계면활성제 중간체를 적절히 배합하는 응용 기술이 핵심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상기 광물의 부유선광에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도 염두에 두어 특정 계면활성제 연구에 진입해야 할 것이다. 연구 방향도 환경친화적인 계면활성제, 계면활성 특성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성을 부여한 계면활성제, 그리고 새로운 구조의 계면활성제 합성, 천연원료를 이용하는 계면활성제 개발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Zhiqiang Hu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6()
잡지명
Minerals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5~154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