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에 의한 조류피해 현상
- 전문가 제언
-
프랑스의 양봉업자들이 꿀벌서식지를 잃은 화학약품에 대한 비난이 거세진 1990년대 후반이후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 살충제로 인한 환경위험으로 격렬한 논쟁이 일어났다. 이때의 토론은 벌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특히 꿀벌이 날라드는 화초에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이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위험성을 거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Hallmann 등은 본 논쟁은 큰 그림을 놓치고 있다는 유력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조류개체수에 관한 장기데이터세트를 분석하는 저자는 곤충을 먹는 새들의 개체수 감소지역의 패턴을 깔끔하게 환경시료에서 검출한 네오니코티노이드 수준에 의해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즉, 새들은 네코티노이드 오염장소에서 빠른 감소를 보였다.
- 저자
- DAVE GOULSON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11()
- 잡지명
- Na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95~296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