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에너지 생산용 혼합 바이오매스 펠릿:연소 모델의 개관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의 발전용 목재펠릿 소비현황은 2012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로 2012년 4만 톤에서 2014년 100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중장기적인 바이매스 에너지 수급을 위해서 폐잔재 제로화시스템 도입, 러시아, 캐나다 등 목재수입국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목재자원의 15%만을 자립하는 우리나라에서 비싼 나무를 수입해 재사용 없이 연료로 태우는 것은 지구온난화를 저감하려는 정책과 역행하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건축폐목재, 생활폐목재, 산업가공폐목재 등 국내의 바이오매스 자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이 자원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개발에 있어서 수집비용이 대폭 늘어나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수집비용을 고려한 규모로 개발이 진행되어야 하며 국내 바이오매스 자원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공정, 가스화기 설계 등이 필요하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정책에 치중하다보면 자연히 바이오매스 수요는 증폭된다. 그러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목재자원의 공급확대가 뒷받침 되지 않으면 목재산업의 균형 있는 발전이 되지 못한다. 폐목재연료 펠릿의 수요 급증으로 저가목재를 사용하는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고 한다. 폐목재 관리측면에서는 폐목재 배출자의 올바른 시스템 입력 개선으로 등급별 폐목재 입력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폐목재를 재이용하는 산업과 바이오매스 에너지산업의 상생을 위해서는 새로운 목질자원의 활용이 절실하다. 다양한 형태의 농업 및 삼림 부산물 즉 산림에 버려지는 벌채부산물과 병충해 피해목 등 임야에 방치된 자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자
L.J.R. Nune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127()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5~140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