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유정제용 고압용기의 제작기술

전문가 제언

본 자료에서는 석유정제 반응탑을 사례로 장기가동 후의 대표적인 열화?손상과 경험을 기본으로 한 재료, 설계, 용접 및 제작기술의 개발에 대해서 각 반응탑 세대에서의 변천을 정리하였다. 또한 석유정제기기?배관의 최근의 보전과 사고사례에 대해서도 집약하였으므로 향후 이러한 설비의 문제점 파악, 품질확보 및 해결책을 추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석유정제 프로세스에 의한 고압용기 제작기술의 세대변천을 본 자료에서는 세부적으로 제1세대(도입기, 1965~1972), 제2세대(개량기, 1973~1980), 제3세대(정착기, 1981~1987), 제4세대(잔여수명연장?갱신기, 1988~1997), 제5세대(약진기, 1998~)로 분류하였으므로 국내외 석유정제 반응탑의 열화와 손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과 향후 해결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석유정제용 고압용기는 가동기간이 길어지면 경년열화에 의해 수소가 점차 농축되는데, 조업 도중에 반응탑이 급격히 냉각되는 경우에 강 중에 수소의 방출이 저지되어 수소지체균열로 알려진 수소유기균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수소결함에 대비하여 제작 전에 소재의 상온인장과 총수소농도에 의한 균열진전한계(KIH)에 의한 수소취화감수성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석유정제 사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향후 글로벌 시장에 국내업체가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석유정제 설비에 필요한 소재의 제조기술, 특히 반응탑의 가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열화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기술의 확립은 무엇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국내 관련 기업체에서는 석유정제용 고압용기에 관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제조기술의 정착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본 자료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Dahara Ryuko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4)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72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