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 일본의 다이캐스팅산업 동향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은 우수한 치수 정밀도, 미려하고 매끈한 주물 표면, 생산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자동차관련 부품을 중심으로 전자기기, 가전용품, 건축용품 등의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융한 합금을 금형 중에 고속고압으로 충전하기 때문에 다른 주조공법에 비하여 높은 사이클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고는 최근 일본의 다이캐스팅 산업에 대한 생산량, 기술 및 연구동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이캐스팅 방법은 hot chamber식과 cold chamber식이 있으며, 성형 사이클은 cold chamber식에 비하여 hot chamber식이 20~30% 빠르고 용탕온도가 서서히 떨어지므로 비교적 두께가 얇고 복잡한 형상의 소형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금형 수명도 길다. 단점으로는 구조가 복잡하고 주조기가 고가이며 대형물의 성형은 적당하지 않다.

 

다이캐스팅 공법에 따라 금형도 체결형, 사출형 및 개방형이 있고 원료 급탕기도 가스가압식, 스크류식 및 Thixo molding법이 있다. 고성능 형재를 사용한 금형이나 대형 다이캐스팅 금형의 열처리방법도 개발하여 탄화물의 생성 억제와 변태를 방지하여 인성이 우수한 금형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금형에 사용하는 이형재는 수용성 알루미나, 실리카나 규조토를 물유리와 배합하여 사용하였는데 본 기술은 종래의 수용성 이형제의 도포량에 비하여 1/1000 정도로 극히 얇게 도포하여 이형기능을 발휘하는 유성이형제로 도포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도 다이캐스팅 공장이나 금형공장 등이 많이 있다. 대림자동차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금오캐스팅은 헤드펌프, 인지AMT는 오일 팬 등을 AM60B, AM50A, ADC12, AZ91D 등의 재료로 제조하는 데 필요한 금형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다이캐스팅 금형에 용융 Al의 젖음 성, 반응을 낮게 해서 우수한 내용손성 다이캐스팅 주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DLC 등의 표면처리 연구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NISHI Naob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5(5)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2~27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