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화학에서 초기 미셀의 존재 제창 및 구조 연구
- 전문가 제언
-
계면활성제는 농도가 충분히 낮을 때 분자상태로 용해되지만, 어느 수준으로 농도가 높아지면 분자들이 회합하여 미셀(micelles)을 형성한다.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극성 말단기는 물 분자와의 친화력 때문에 바깥쪽에 모이고, 물 분자와 반발력이 있는 소수성 말단기는 갈 곳이 없어 안쪽으로 모여 형성되는 구조가 미셀 구조이다. 미셀의 존재는 1913년 J. W. McBain에 의해 제창되었다. 이 글은 미셀 존재가 제창된 지 100주년을 맞아 제창자의 이력과 초기의 미셀 형성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고, J. S. Hartley가 미셀의 구형구조 모델을 제시하는 등의 개척자적 공로를 고찰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성질은 임계미셀농도(CMC)를 경계로 해서 현저하게 변화한다. 미셀의 내부는 친유성이어서 유지류를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다. 이 현상을 가용화(solubilization)라 하는데, 계면활성제 수용액이 나타내는 세정작용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
- 저자
- Brian Vincent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03()
- 잡지명
-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54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