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형 나노 카본 하이브리드 피막의 개발에 의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품질향상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의 주 용도는 자동차 및 이륜차 부품으로 지구의 온난화와 환경오염 방지, 연비향상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의 경량화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어 다이캐스팅 부품의 사용 확대는 지속해서 증가 되고 있다.

 

다이캐스팅 부품은 여러 개의 부품으로 제조되던 부품을 한 개의 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양산이 가능하고 제조원가 저감이 가능하나 부품 내부의 기공으로 기계적 성질의 저하와 기밀성 저하, 역구배 부위의 성형 곤란과 낮은 열전도 등의 단점도 많다.

 

세계 다이캐스팅 생산량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서 공산품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중국의 생산 점유율이 34%로 2위 그룹과 큰 차이를 두고 선두를 달리고 있다. 미국과 EU는 각각 14%, 일본은 12%(2012년 100만 톤 생산)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식적인 생산량 집계는 없으나 연간 생산량이 약 30만 톤에서 40만 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 다이캐스팅 기술개발은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에 힘입어 현재 진행형으로 기술향상이 되고 있으나 아직은 선진국을 모델로 하여 뒤따라가는 데에도 힘이 벅찬 것이 현실이다.

 

다이캐스팅업계에서의 기술력 확보는 기존 정규학교 교육을 통한 인재 확보와 재교육을 통한 인력양성 등 다양한 방안이 정부의 뿌리산업 육성 지원책 등으로 강구되고 있으나 공급자인 교육기관과 수요자인 업체 간의 미스매치로 아직 좋은 결실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기술자들은 기술교육을 받기 위해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평일에는 근무하고 주말을 이용하여 일정한 교육을 받도록 해야 하며 다이캐스팅 조합이 주도하여 업계의 중지를 모아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여 실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저자
Yuichi Furuk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9(3)
잡지명
型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4~28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