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 계면활성제 생산에서 바이오기술 이용 기회

전문가 제언

계면활성제 대부분은 석유화학 및 유지화학 자원에서 생산된다. 최근 계면활성제가 환경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하여 소비자 및 생산자의 인식이 증가하면서 환경친화적인 생물(바이오) 계면활성제로의 전환이 늘고 있다. 생물 계면활성제는 낮은 생태의 독성, 용이한 생분해성, 온화한 생산조건 등의 유익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넓다.

 

그러나 높은 생산원가와 낮은 생산성으로 시장진출이 부진하며, 구조변화의 폭이 좁아 모든 응용분야에서 발전을 제약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기물 이용, 발효인자의 최적화 및 생산물 회수 등 생산공정 조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글은 현재 산업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생물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생산 증진을 위한 유전자 조작 등 새로운 바이오기술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생물 계면활성제는 세정제뿐 아니라 오염물질 제거, 항생물질, 화장품 분야 등 적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화장품 분야 이용이 활발하다. 그러나 천연물에서 유래한 계면활성제 성분을 활용하는 수준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생물 계면활성제의 학문적 연구는 활발하다. 원문에서는 부산대학교의 이상준 교수팀의 “바이오 계면활성제의 이종 기원 생산(Heterologous production)”이 인용되었으며, 김주현 등의 “미생물에 의한 생물 계면활성제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문혜준 등의 “생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디젤 오염토양 세척기술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NDSL을 검색하면 논문발표보다는 특허 출원 수가 더 많아 생물 계면활성제의 산업화에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이 산업적으로 응용되는 발표는 드물다. 생물 소재와 유전체를 연구하는 벤처기업인 ㈜바이오알앤즈와 생물 계면활성제 양산 연구결과를 발표한 산업기술 종합연구소의 활동이 돋보이며, 좋은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

저자
Robin Geys, Wim Soetaert, Inge Van Bogaer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0()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6~72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