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발전에 관한 초점
- 전문가 제언
-
UN공개실무그룹은 2014년 9월까지 UN사무총장과 총회의장에게 지속발전목표에 관한 최종보고서를 제출할 것이며, 이들은 2015년 9월까지 이들 목표를 마무리할 것이다. 밀레니엄발전목표의 후속타인 이들 목표는 2030년까지 글로벌 행동을 지도할 것이기 때문에 어린이발전이 이 프레임워크에 아직 효과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어린이발전에의 투자는 건강향상, 경제적 및 사회적 성과를 위한 기초이다. 초년에 “올바른” 초기를 가지 못하면 폭력행위, 우울, 높은 비전염성 질병이환율, 저임금과 연결되어 국가의 GDP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발전이 UN지속발전목표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으면 국가는 빈곤에 갇혀서 지속발전이 되지 않을 것이다.
어린이발전은 2015년 이후 목표에 반영되어 있으나 암묵적이고 단편적인 방법으로 포함되어 있다. 관련목표가 다양한 목표 하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예방이 가능한 신생아 및 어린이 사망의 종식은 보건 하에, 어린이발육 방해 및 쇠약의 종식은 기아와 영양 하에, 양질의 어린이보호 및 조기교육에의 접근제공은 교육 하에, 모두에게 적절한 위생의 달성은 위생 하에, 어린이 학대, 착취, 폭력의 종식은 평화롭고 포괄적인 사회 하에 반영되어 있다.
- 저자
- Karlee L. Silver, Peter A. Singer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345(6193)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21~121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