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덴마크의 양식 조개류에 돼지 장내 바이러스 감염

전문가 제언

식품 중에서 굴 등 쌍각 조개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아 이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조개류들은 주변의 많은 물을 섭취하여 여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어 각종 병원성 미생물로부터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본 논문은 돼지 사육이 발달된 덴마크에서 오염원 주변 조개류 양식장에서의 각종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실태 규명에 관한 논문으로서 국내의 실태 파악 및 관련 규정 등 안전 관리에 보탬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에는 식품에 의한 식중독을 관리하기 위한 지표로서 대장균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대장균은 바이러스보다 쉽게 불활화되며 자연 환경에서도 증식이 가능한 성질로 인하여 현재는 보다 견고성이 강하며 식중독 사건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노로바이러스 혹은 감염성 바이러스 수를 지표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식약처 및 환경부 등에서는 먹는 물 및 식품에 사용하는 세척 수 등에 대해서 노로 바이러스 시험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소개 논문은 많은 사육 동물의 지표로서 돼지 circovirus 2형(PCV2)의 사용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PCV2는 돼지 배설물의 오염의 지표로서 적합하기 때문이며 대장균보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PCV2가 돼지 배설물 오염의 지표로서 적합한 결론을 얻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돼지 사육으로 인한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돗물의 원수에 대해서 전체 감염성 바이러스 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식자재의 세척에 사용하는 물에 대해서 노로바이러스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규정을 환경부와 식약처에서 시행 중에 있다. 이러한 조치와 함께 보다 용이하며 신뢰도가 높은 지표 미생물의 개발에 관한 정보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저자
J.S. Kro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86()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5~109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