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 절단 과정에서의 노로바이러스 이동 추적과 모델링
- 전문가 제언
-
○ 노로바이러스(norovirus)는 과거에 여행자 설사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로서 과일이나 상추와 같은 익히지 않은 식품에 오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의 일종이다. 따라서 이 바이러스의 식품에서의 이동 과정과 양적인 관계를 자세히 규명하는 것은 국민 보건상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마토에서 노로바이러스 입자의 이동 과정을 조사하여 바이러스의 이동 과정을 모델링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노로바이러스는 유치원, 초등학교 및 군인 등 밀집 생활자들에게 집단적 위장관 질병을 유발한다. 한 예로서 2008년 인천의 초등학교 구내식당에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집단 발생이 있었다. 구내식당을 이용한 1,560명 중에서 117명이 감염 증세를 보여 7.5%의 감염률을 보였다. 오염된 식품은 양배추 혼합물, 무김치 등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취급인이 오염원으로 조사되었으나 여러 종류의 채소를 섭취한 역학군에서 발병하여 실제 오염원은 식품을 세척한 물로부터 초래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식품을 취급하는 과정에서나 감염된 식품 취급 업자의 손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바이러스는 pH 2.7에서 3시간 노출, 20% 에테르에서 4℃, 18시간 처리, 60℃에서 30분간 배양, 그리고 수돗물 염소 농도인 3.75~6.25㎎/ℓ(잔류염소량 0.5~1.0㎎/ℓ)에서도 불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품은 노로바이러스의 저항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실제 절단과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모델링하여 이동 과정에서 얻어지는 바이러스의 qRT PCR 수치를 확보하여 모델링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실제 사람의 노로바이러스는 실험동물에서나 세포 배양에서 증식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성 자체에 대한 모델링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노로바이러스를 비롯한 다수 식품 바이러스의 안전 관리에 좋은 자료임을 확신한다.
- 저자
- Y. Carol Shieh,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80()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18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