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된 고형연료 연소방법을 이용해 고체연료속의 염소함량 조사연구
- 전문가 제언
-
전통적인 고형 연료 연소방법인 에슈카 방법(Eschka method)은 고체연료 속에 있는 염소가스 측정에 대한 표준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에슈카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연도가스와 더불어 염소의 방출로 인한 약간 낮은 등급의 고체연료인 바이오메스와 같은 연료 속에 있는 염소함량을 측정함에 있어 현저하게 과소평가 되고 있다.
새로 개발된 에슈카 방법은 방출되는 염소가스를 염산가스로 변환시켜서 연도가스 속에서 이탈되는 염소가스를 회수할 수 있도록 개발한 신형방법이다. 개발된 에슈카 방법은 연구된 고체연료 범위 내에서 방출되는 가스는 물론 원래 있던 가스도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체연료인 석탄, 바이오메스, 폐플라스틱 및 폐기물로 처리된 연료 등과 같은 염소를 함유한 고체연료들의 열화학적 활용은 염산가스, 클로로메탄, 폴리크로리네이트 디벤조-p-다이옥신(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디 벤조퓨란(Dibenzofuran) 및 분진물질 등의 방출에 현저하게 기여되고 있다. 그러한 방출은 산성비와 성층권영역의 고갈과 같은 여러 환경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 저자
- Muhammad Usman Rahim,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129()
- 잡지명
- Fue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14~317
- 분석자
- 정*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