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강재와 알루미늄합금의 마찰교반용접

전문가 제언

최근 자원절약과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 가공성, 주조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알루미늄(밀도 2.7g/cm3)과 같은 경량?고성능 재료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알루미늄 합금을 항공기, 철도차량, 자동차와 같은 수송기기에 성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GMAW, GTAW와 같은 아크용접법 외에도 GMAW­YAG 레이저 하이브리드용접, 마찰교반용접, GMAW­브레이징, 레이저­브레이징기술 등과 같은 고품질, 고효율의 용접?접합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수송기기의 경량화에 중요한 알루미늄합금과 구조용 고강도 철강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합금/철강재료의 이종재료를 성공적으로 용접?접합하기 위해서는 이음부의 강도 확보, 두 금속의 선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열변형의 제어, 용융 후 응고된 용접조직에 금속간화합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시공조건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영국 자동차 재규어는 내년 출시 예정인 프리미엄 스포츠 세단 XE에 최첨단 알루미늄 기술을 적용하였다. C/D 세그먼트 차종 중에서 유일하게 차체의 75%를 경량 알루미늄으로 구성했으며 제조과정에서부터 친환경 기조에 부합하여 고강도 알루미늄 소재인 'RC5754'를 세계 최초로 XE에 도입했다. 알루미늄 인텐시브 모노코크(aluminium- intensive monocoque) 차체는 뛰어난 강성 확보와 경량화에 성공했으며, 연비는 높이고 CO2 배출량은 줄여 효율성 역시 큰 폭으로 개선했다. 국내 자동차 산업계에서도 국산 자동차의 알루미늄 사용량 증가를 위한 용접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의 한국과학기술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한국해양대학교, 유로비전 등에서는 레이저­브레이징, 레이저 하이브리드용접, 마찰교반용접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과 협력하여 고급 용접?접합 응용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자동차 산업계에서도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고부가가치 국산 자동차의 알루미늄 용접에 대해 활발한 기술개발이 예상된다.

저자
佐山滿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1)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5~6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