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및 물리적 모델링을 통한 제련반응기의 최적화
- 전문가 제언
-
파일럿플랜트 규모의 금속제련 산업화 시험은 큰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새로운 금속공정의 규모를 확장하려는 과거의 시도에서는 작은 벤치규모 실험에 통상 의존해 왔다. 그러나 공정에서의 속도상수, 교반현상, 기하학적 영향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수많은 파일럿플랜트 운전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대신에 제련반응기(metallurgical reactors)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물 모델링(water modeling)과 수학적 모델링(mathematical modeling)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성공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 가스 교반의 영향과 순간 변화가 포함된 각 반응기 내의 다상 난류; 합금 입자 첨가물 주위 금속 층의 응고; 가열과 재용해를 포함한 각 반응기의 교반현상; 각 반응기들 간 온도저하를 포함한 열전달 현상; 용융금속과 유출슬래그와 기포표면을 가진 계면 간 반응들의 열역학 및 속도론을 포함한 각 반응기에서의 조성 변화; 상기 현상들에 대한 반응기 형상, 가스주입 위치, 유동속도, 기타 운전 조건과 같은 3차원적 특성의 영향.
- 저자
- L. Zhang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6(7)
- 잡지명
-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51~1152
- 분석자
- 정*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