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염을 줄여주기 위한 삼층 구조를 갖는 다층벽 탄소 나노튜브 적층코팅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안전에 관한 문제가 여러 분야에서 거론되고 있다. 각종 건물이나 가구, 섬유용품 등 모든 것들이 물질로 구성된 재료들로 되어 있다. 기본재료나 기초 물질들이 안전하고 견고하면 화재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안전사고와 화염에 대비하기 위한 신소재 탄소 나노튜브의 적층 코팅방법을 제시한다.
○ 탄소 나노튜브는 6각형 탄소들의 고리로 연결된 긴 대롱모양의 입체적 구조를 갖는 지름이 1nm 크기의 미세분자 덩어리이다. 지름이 0.5~10nm 크기의 대롱모양 원통형 탄소 나노 튜브는 높은 인장력과 전기전도성 등을 갖고 있다. 탄소 나노 튜브들이 적층을 이루게 되면 내수성과 내열성이 나타나고, 불에 타서 재가 되면 탄재(char)가 되어 표면이나 내부 층 사이에 쌓여서 방염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 탄소 나노튜브의 소재는 넓은 활용범위를 가진 미래 첨단소재로 기대를 받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2000년대 초부터 나노기술 종합전략을 만들어 R&D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화염을 줄여주고 내연방제를 위한 다층 나노 튜브 적층코팅 방법을 제시한다.
○ 기능성 코팅재료로 삼층으로 코팅하여 시행된 다층 탄소 나노튜브 적층 코팅 처리된 폴리우레탄 폼(PUF)이 화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폴리우레탄 폼 자체만으로 보다도 다층 탄소 나노 튜브 적층코팅 처리된 폴리우레탄 폼(PUF)이 더 유용한 내열성과 방염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므로 이 확인 결과로부터 PUF-MWCNTs 적층 코팅을 추천 제안한다.
○ 상업적으로 폴리우레탄 폼(PUF)을 화염을 줄이는데 사용하여 온 재래식 방법 FR시스템이나 CNF 잠입에 의한 것들 보다 기능성 MWCNTs에 근거한 코팅방법이 더 적은 양의 첨가제를 넣고서도 더 우수한 내열 효과가 있다. 이 기능성 MWCNTs-PEI/PAA TL 코팅재료를 탄소 나노튜브 적층 코팅에 화염을 줄여줄 수 있는 도료 페인트의 제조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저자
- Yeon Seok Kim, Rick Davi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50()
- 잡지명
- Thin Solid Fil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4~189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