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화염 지연제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의 화염 방지: 에틸렌디아민-변형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 전문가 제언
-
○ 일상생활에서 고분자 물질로 만든 제품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플라스틱 제품들은 우리 주위에도 많이 있다. 이 폴리프로필렌들의 화염 방지나 내열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첨가제로 에틸렌디아민-변형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추가로 복합시켜 효과를 보는 방법을 제안한다.
○ 폴리프로필렌은 전기적 절연성, 화학적 부식 방지, 기계적 물성 등 많은 분야에서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화염에 대하여 약하기 때문에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로는 사용 범위가 제한된다는 약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 개발된 제품들 중의 하나가 팽창 화염지연제의 사용이기에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매트릭스의 물성에 손상을 적게 주고 환경 친화적이며 매연을 적게 생기게 하는 방법과 기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폴리프로필렌 고분자에 변형된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가미해서 용융 블렌드를 만들어 시험해 보고, 새로운 화염지연 방지제를 만들 어 폴리프로필렌의 화염 방지를 돕기 위한 에틸렌디아민-변형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제조하여 팽창 화염 방지 지연제들을 활용하여 개 선할 것을 제안한다.
○ 현재까지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단일물질로 화염을 지연 또는 방지시 킬 수 있는 조성물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에틸렌디아민-변형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산성과 취입 재료로의 두 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는 팽창화염 지연제이다. 여기서 팽창화염 지연제를 활용하 는데 용융물이나 하이브리드로만 이용하지 말고 고분자 표면에 마이크로캡슐로 코팅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사이에 열안정성과 내수성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 어 표면 코팅처리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평가된다.
- 저자
- Zhu-Bao, Cong Deng, Yi Tan, Ming-Jun Chen, Li Chen, Yu-Zhong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106()
- 잡지명
-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8~96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