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한 광양자의 간섭현상 연구
- 전문가 제언
-
측정기술 분야에서 양자 혼합물질(Quantum entanglement)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관련 업계와 연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광학 일관성 단층촬영) 분야에서 그룹 각속도 측정 및 속도분산 주파수를 이용한 광자 쌍 생성 등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구현하면서 유용성 분산 미디어, 생물학적 샘플의 편광분산 측정 및 분극에 민감한 측정실험 등 분산이론의 전형적인 연구사례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OCT(광학 일관성 단층촬영) 촬영기법을 이용하여 일직선상에 존재하는 광자 쌍의 두 광자인력을 측정할 수 있는 마이켈슨 간섭계(Michelson interferometer)가 개발되었다. 이는 광양자의 연구에서 기존의 SPDC(Spontaneous Parametric Down Conversion) 기법을 입증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하여 원거리 통신 대역폭(telecom-band)을 갖는 2 광양자의 간섭현상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PPLN(Periodically Poled Lithium Niobate : 주기적인 폴을 갖는 리튬 Niobate) 특성을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펌프(laser diode pumps) CW(Continuous Wave : 연속파)를 측정하여 광 통신용 광대역에서의 주파수 안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광양자를 통해 기존의 SPDC(자연스러운 파라미터 변환) 기법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550nm의 파장을 갖는 초고주파 채널의 일직선상에 존재하는 광자 쌍을 생성한다. 이 두 임계값을 갖는 모드변환을 통해 단일 광자 검출기의 측정기록과 일치하는지 또한 2 광자간섭계의 카운트를 관찰하여 상관함수를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 저자
- Akio Yoshizawa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313()
- 잡지명
- Optics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33~33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