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르 주파수(Kerr frequency)를 이용한 마이크로 공진기의 도파특성 연구
- 전문가 제언
-
최근 커르 주파수(Kerr frequency) 생성기술이 분광학(Spectroscopy), 주파수 측정(frequency metrology), 감지(sensing) 및 임의 주파수 생성(arbitrary waveform generation) 등의 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면서 관련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모델 및 마이크로 공진기(micro resonator) 소자 기술 분야에서 커르 주파수 생성기술이 사용되는 데에는 두 가지 주요 이론적 개념이 있다.
이들은 결합된 모드방정식인 LLE(Lugiato?Lefever Equation)을 이용하여 소자의 구동 시 발생하는 감쇠성분 중의 NLS(NLS(Non-Linear Schrodinger : 비선형 슈뢰딩거) 특성으로 알려져 있는 광섬유의 도파모드를 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은 199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마이크로 공진기의 동작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모델로 채택되면서 더울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LLE 방정식의 계산결과에 따라 고도의 커르 주파수 결합모드에서의 시뮬레이션 수치 등이 마이크로 공진기의 전력밀도와 수백~수천 번의 공진모드 특성을 갖는 옥타브 주파수(octave frequency)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스패닝(spanning) 같은 초광대역 시뮬레이션을 통해 물리적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근사 값으로 상호 변환할 수도 있다. 실제로 이들 비선형성으로 인해 4 웨이브 혼합과정에서 매우 빠른 계산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 저자
- T. Hansson, D.Modotto, S. Wabnitz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312()
- 잡지명
- Optics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34~13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