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안정성 분석기술 발전 동향
- 전문가 제언
-
가동-중 방사성물질 무-누출을 목표로 하는 원자로계통 설계에서는 특히 원자로 및 냉각재-재순환루프의 안정특성이 상세하게 규명되어야 한다. 또한, 원자로는 피드백-루프로 구성된 고도로 비선형적인 동적시스템으로서, 다양하고도 복잡한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PDS)의 집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 해는 아주 복잡한 다양성을 지닌다.
원자로 안정성 분석의 물리학·수학적 기반에서는 원자로 역학과 중성자 동역학 및 열-수력 시스템 역학이 중심을 이루며, 이들에 대한 해법은 경수로나 기타 원자로에 대한 천이·통합시스템 계산코드들로 얻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비등수로(BWR) 역학이 보여주는 특정 비선형성은 다른 원자로의 비선형 안정성 분석에의 적용을 위헤 주목되어왔다. 일반적으로 BWR 안정성 분석에서는 기술적 안정성 지표인 붕괴비율(DR)이 시간-도메인이나 빈도-도메인 시스템코드에 의해 측정·계산되고 있는바, DR은 변동하는 선형 동적시스템 안정성을 특성화해주는 안정성 지표로서, 이를 비선형 동적시스템에 적용하는 이론들이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다.
- 저자
- Dieter Hennig, Christophe Demaziere, Gumersindo Verdu, Carsten Lange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7()
- 잡지명
- Annals of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