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수질환경법은 과연 효과가 있었나?

전문가 제언

지난 40여년에 걸쳐 ‘미국 수질환경법은 과연 효과적이었나?’ 하는 과학적 질문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기존 과학자들은 ‘물론’이라고 답변하는 반면, 젊은 과학자들은 회의적이며 일부는 무효라고까지 주장하고 있다.

 

1969년 2월에 미국 남 캘리포니아 태평양 해안 석유시추장비 Platform A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이때에 배출된 100,000 배럴의 원유는 800㎢의 해수면에 덮여 기름 층을 만들고 350㎞의 해변을 오염시켰다. 이로 인해 3,600마리 이상의 해양조류와 무수한 해양포유동물이 사멸되었다. 또한, 1969년 6월에는 석유와 연소성 폐수로 오염된 Cuyahoga 강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유사한 생태계 파괴현상이 야기되었다.

 

당시의 과학자들에게는 폭발/화재에 기인된 예기치 못한 환경파괴의 악몽이었고 환경오염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수영과 고기잡이가 가능한 표층수를 보전하려는 수질환경법 및 캘리포니아 포터쾰른법이 제정되었고, 현재는 이 강이 고기잡이가 가능한 하천으로 바뀌었다.

저자
Kenneth Schiff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81()
잡지명
Marine Pollution Bulleti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