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 이질소(N2O)의 분석법
- 전문가 제언
-
○ N2O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CO2의 298배나 되는 강력한 온실가스이며 오존을 파괴하는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교토 의정서에 의하면 N2O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조사하여야 한다.
○ N2O는 토양이나 해양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전환반응에서 발생하는 것과 농업과 관련된 비료 때문이며 그동안 대기 중에는 270ppb에서 20%가 증가하여 약 320ppb이 되었다.
○ N2O는 마취제로도 사용하였으므로 의학, 치의학, 수의학에서도 N2O의 농도 관리가 중요하다. N2O 농도가 >112.5? 이상에서는 DNA가 손상되어 면역 방어를 낮추고 생식계 비정상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시간가중평균(TWA) 농도를 <25?으로 정하고 있다.
○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WMO-GAW)에서 N2O 측정지침은 0.1ppb 이하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요구하고 있고, 대기중 N2O의 농도는 CO2의 1/1000 정도인 320ppb로서 매우 낮아서 검출한계가 충분히 낮고 선택성이 큰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 최근에 초미량의 N2O 분석 방법들이 발표되었지만 대부분의 장비는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워 시료채취와 분석이 시간적으로나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단점이 있어서 검출감도가 충분하고 가격이 싸며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센서에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단계이다.
○ 국내에서도 미세-기상학적(Micrometeorological) 방법을 사용한 휘발성 유기물의 분석방법이나, 공동 감쇄 분광법(CRDS: Cavity Ring-Down Spectroscopy)을 이용한 초미량 성분의 분석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직접 분석이 중요하므로 감응시간이 빠르고 선택성이 크며 가격이 낮은 센서에 대한 연구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저자
- Trevor D. Rapson, Helen Dacr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4()
- 잡지명
-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5~74
- 분석자
- 어*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