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의 기생충 감염을 경계해야 할 식자재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에 대한 조사사업을 국가 통계사업으로 시행하는 유일한 나라로, 『전국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조사』가 기생충질환 예방법에 따라 정부사업으로 1971년 제1차를 시작으로 5~7년 주기로, 총 7차례의 전국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를 조사했다.
○ 기생충은 체내의 영양분을 섭취하므로 우리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기생충 감염에 인해 다른 질환을 우연히 조기 발견하여 오히려 도움이 되기도 하며, 천식, 비염,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에 대한 가능성을 주목받기도 한다.
○ 해외유입 기생충 감염증은 2001년부터 기생충학 교실이 있는 의과대학 27개가 참여하는 표본감시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2001년에는 유극악구충증 1명, 사상충증 1명, 포충증 1명, 2002년에는 포충증 1명이 보고되었으며 2003년 이후 2007년까지 발생보고는 없었다.
○ 기생충 질환의 예방은 각 기생충의 생활사와 생태학 등을 잘 파악하여 숙주와 기생충과의 연결과정을 차단하는 방법이 중요하며, 기생충 질환의 퇴치를 위하여 유행지역에 대한 역학적인 조사와 적극적인 관리가 강구되어야 한다.
○ 기생충 질환에 대한 예방은 개인만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성과를 거둘 수 없으며, 일정한 지역이나 집단에 대한 기생충 예방의 구체적 대책이나 관리 또한 쉬운 것은 아니다. 기생충의 인체감염은 자연환경, 사회경제적인 여건, 개인위생, 기생충의 감염분포, 감염원, 감염경로 등 복합적인 여러 가지의 요인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 기생충 중에는 암과 관련성 있는 대표적인 예로, 간흡충이 있는데, 간흡충에 감염하면 담도암 확률이 훨씬 더 높아진다. 우리나라의 간흡충 유행지는 낙동강 유역으로, 평소 민물 회를 좋아한다면 가끔 디스토마 치료약을 먹는 것이 좋다.
- 저자
- MAKI Jun, SEKIYA Hiroshi, TANABE Tomotaka, HATA Masayuki, FUNAHASHI Tatsuya, TAMAI Eiji, KAWASE Masami, SAKAGAMI Hiro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56(5)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9~65
- 분석자
- 백*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