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혈장기질 메탈로프로테나제-9와 단핵구 화학주성단백-1을 사용하여 심혈관질병을 예측하기

전문가 제언

동맥경화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동맥벽에 점차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간이 감에 따라 더 진행하여 염증과 세포외 기질에 많은 병터가 생기게 하고 혈관을 막아 혈액순환을 제한한다. 동맥경화 병터 형성 중에, 단핵구가 모이는데, 이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mono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케모카인 수용체 CCR2 신호경로의 상향조절이 관여하는 기전에 의한 것이다.

 

지방의 흡수에 추가하여 거식세포는 높은 농도의 염증 매개자 및 단백질분해효소 혈장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를 분비한다. 이 작용은 동맥경화 플라크 진행에 일조한다. 동맥경화 플라크의 섬유질 캡의 주요 성분인 콜라겐은 플라크 장력과 안정성 유지를 돕는다. MMPs는 콜라겐을 분해하여 플라크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염증 및 MMPs들이 질병초기부터, 진행 및 결국 증상개시 때 까지 동맥경화의 모든 단계에 관여한다.

저자
Yonggang Ma et a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232()
잡지명
Atherosclero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1~233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