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의 유전자조작 독감 연구, 제동 걸리다

전문가 제언

논쟁거리였던 University of Wisconsin의 독감 연구가 ‘미 국립 알러지 감염질환 연구소(US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가 대학의 평가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이제 새로운 미국 바이오보안 규정에 따라서 진행되고 있다. 일부 바이오보안 전문가들은 애초에 이 연구가 바이오보안 규정에서 제외된 것 자체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반면, 어떤 이는 이 경우는 시스템의 검토와 균형이 작동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예라고 말하고 있다. 처음 University of Wisconsin은 이 연구가 잘못 사용되면 공공보건, 국가보안 또는 곡물이나 가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연구로 분류되는 ‘우려되는 2중 활용 연구(Dual Use Research of Concern: DURC)’ 범주에 속하지 않는 다고 판단했으나, NIAID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바이러스 학자인 Yoshihiro Kawaoka가 이끄는 이 프로젝트는 독감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조작해서 호스트의 범위, 전파율 및 균력(virulent)과 같은 특성들을 변화시키는 ‘기능 획득’ 독감연구의 한 예이다. 이러한 연구는 잘못하면 독감의 대유행을 불러올 수 있는 균주를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논쟁을 불러오기 마련이다. 원래 이 프로젝트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조류독감 균주가 1918년 유행했던 것과 같은 바이러스로 변환될 가능성을 확인하고, 균력이 매우 강해 4,000만 명의 사망자를 낳게 한 1918 H1N1 바이러스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 볼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저자
D ECLAN BUTLER AND BRENDAN MAHER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11()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14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