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층의 음향 특성
- 전문가 제언
-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남중국해에서 잠재력이 큰 에너지원으로 인식되어 왔다. 남중국해 퇴적물 내 가스 하이드레이트 층의 음파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광역 가스 하이드레이트 조사 및 정량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시료는 중력 시료채취기로 채취한 퇴적물이며,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가스와 수포화 SCS퇴적물 시스템 내에서 형성되었다.
○ 벤더요소기술(bender element technique)과 시간영역반사법(TDR)을 종합한 새로운 기술이 SCS 퇴적층 내 하이드레이트 산출상태의 음파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로 하이드레이트 포화도(Sh)가 14% 이내일 때 음파의 신호음이 약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퇴적층의 음파속도(Vp, Vs)는 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는 동안 Sh에 따라 증가되며, Vs는 Sh가 14% 이상일 때 비교적 빠르게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이들 결과는 작은 하이드레이트 입자들이 처음에는 공극 유체 내에서 또렷한 음향 감쇠현상을 일으키는 부유현상을 일으키나, 전단 탄성율(shear modulus)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시간이 지나고 Sh가 14%에 거의 다다르면서 수많은 입자들이 함께 합쳐지고, 퇴적물의 입자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Vs는 하이드레이트 포화도가 14%를 초과하면서 급속히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 한국의 울릉분지에는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상당량의 2D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고,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 가능지역에 대하여 3D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다. 대표적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지역으로 확인된 UBGH1-10 지점에 대한 시추를 실시하였으며, 획득된 시추시료에 대해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지구물리학적 종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하이드레이트 포화도와 탄성속도를 보여주는 음향특성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다. 이 실험논문이 울릉분지 가스 하이드레이트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Gaowei H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2()
- 잡지명
-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