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트와 금속의 적층조형
- 전문가 제언
-
3D 프린트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2013년 일반교서 연설에서 「3D 프린트에 의한 제조」를 제조업의 미래를 견인하는 새로운 존재로 규정하고 거액의 국비를 투자하여 NAMII(National Additive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를 설치하고부터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
3D 프린트는 적층조형을 기본으로 한다. 3D CAD 데이터로부터 어떤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 (2D 슬라이스 단면)을 다수 작성하여 각각의 단면을 순차로 적층, 실체화하는 것으로, 이 공정이 전부 자동화로 이루어질 때에 3D 프린트라고 한다.
3D 프리트(적층 조형)의 기술은 2009년 ASTM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부가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 AM)로 그 명칭이 통일되었다. AM 기술은 재료압출(Material extrusion), 재료분사(Material jetting), 결합제 분사(Binder jetting), 액층 광중합(Vat photo-polymerization), 시트 적층조형법(Sheet lamination), 분말베드 용융결합(Powder bed fusion), 지향에너지 퇴적(Direct energy deposition)으로 분류된다.
- 저자
- TSUKAMOTO Masahiro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83(4)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58~261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