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자료에서 유효 셰일 분포 측정
- 전문가 제언
-
○ 셰일층은 퇴적층의 투수성에 장애를 주기 때문에 이들의 연속성 측정이 저류층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필요하다. 셰일층의 3D 지형과 연속성을 알기 위해서는 2D 노두나 검층기록에서는 파악할 수 없다. 셰일층의 연속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유효 셰일 면적을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셰일층의 연속성을 측정하는 데 관련 증거와 기록이 많아서 잘 알려진 탄화수소 지역에서의 셰일의 덮개암 능력에 의존하는 간접적인 방법이지만, 이는 미지의 3차원 문제를 해결해 준다.
○ 유효 셰일 면적 분석은 구조적으로 단순한, 탄화수소 접촉면이 직접 덮개암 셰일에 의해 조절되고, 단층이 없는 육성 환경에서 천해환경에 퇴적된 쇄설성 저류층에서 이루어졌다.
○ 유효 셰일 면적은 순수 해양지역과 육성/주변 해양환경 기원의 2가지 또렷한 분포로 대별됨을 보여 주었다. 육성/주변 해양환경에서 퇴적된 셰일은 유효 덮개 능력이 채널 침식에 의해 감소되어 작은 면적을 나타낸다. 탄화수소 칼럼이 순수한 해양셰일에 의해 밀폐되는 지역에서는 넓은 면적을 점유한다. 이들 해침셰일에 의해 밀폐되는 저류층의 경우에는 채널화가 급작스럽게 줄어들어서 셰일층의 연속성이 증가됨을 기대할 수 있다.
○ 관련 증거와 기록이 많아 잘 알려진 탄화수소 지역 수 개소의 자료검토 결과, 서로 다른 구조운동을 받은 지역에서 형성된 트랩 내의 셰일타입은 유사한 면적분포를 보인다.
○ 한국 내에서 생산 중인 석유/가스전은 유일하게 동해의 울릉분지에 존재하는, 일부의 콘덴세이트를 포함하고 대부분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동해-1공이다. 저류층은 Incised Valley와 관련된 층서트랩으로, 근원암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동해-1공을 포함하는 울릉분지에 대한 석유시스템 분석을 위해서는 정밀분석이 요구되며, 이 논문에서 밝혀진 유효 셰일 면적에 대한 정밀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John W. Snedd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9()
- 잡지명
-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5~44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