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접착 주변부가 있는 상처 드레싱

전문가 제언

처 드레싱은 백킹시트, 백킹시트 위의 감압 접착층, 흡수 소재의 주변부 주위가 접착제로 코팅된 백킹시트의 중심에 적용되는 백킹시트보다 작은 영역인 흡수 소재의 아일랜드, 흡수재에 적용되고 감압 접착제에 의한 아일랜드 주위의 백킹시트와 결합되는 미공성 상처 접합면으로 구성된다. 거기에서 구멍이 있는 상처 접합면은 상술한 상처 접합면에 실리콘 겔로 코팅이 된 미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미공성 상처 접합면의 오픈영역은 약 5~75%이고, 그 미공성 상처 접합면은 약 2~100mm2의 오픈영역을 가지고 있는 구멍들로 형성된다.

 

새로운 상처 드레싱의 미공성 필름, 실리콘 탄성재 코팅, 겔 형성 흡수/위킹층, 탑시트의 최적 밀착도, 접착 주변부 등으로 드레싱 사용의 용이성과 상처부위의 삼출액을 포함한 액체의 누출방지로 기존의 강압 접착제로 인한 피부 접착 후 야기되는 문제점과 액체의 누출이 해결될 수 있다. 그 기술은 다양한 의료용품에 접목하여 생리작용(예 : 피부의 증발작용)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건강회복에 도움이 되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의 제약회사들은 주로 습윤 드레싱을 개발하여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지난달에도 한 업체에서 신상품 판매를 시작하였다. 그 습윤 드레싱은 2002년에 최초로 출시되었다. 또한 의료기기법에 의거하여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다양한 수입 상처 드레싱들이 시판되고 있다. 본 특허와 유사한 제품은 문헌을 통하여 찾지 못하였지만 그와 유사한 제품의 개발이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을 위하여 제약업체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국제적으로 상처 드레싱을 포함한 의료기기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것은 세계시장의 주도권과 직결되므로 우리 드레싱의 기술이 국제 표준에 반영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주변부가 있는 새로운 상처 드레싱의 소재, 기공의 크기와 두께, 부착될 신체 부위 및 부착 후의 모양 등을 고려하여 드레싱을 설계하면 차별화된 상품이 개발될 수 있고 그 결과 구매자의 만족도가 증대될 것이다. 또한 드레싱 커버시트의 수효(예 : 두 개, 세 개 등)는 드레싱의 크기, 두께, 사용의 편의성, 부착 부위 등이 고려되어 결정되어야 한다.

저자
Systagenix Wound Management IP Co. B. V.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WO20140097069
잡지명
Wound dressing with adhesive margi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