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압력 제어 간접 스폿용접 기술

전문가 제언

저항 스폿용접은 두 개의 전극으로 중첩된 판재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고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저항 발열로 판재 사이에 단시간에 용융접합부(nugget)를 형성시켜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 용접은 얇은 판의 용접방법으로써 고능률, 저비용의 특징이 있어 자동차의 대량생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자동차 차체의 조립 시 한 대당 3,000~6,000점의 저항 스폿 용접 개소가 있어 현재 자동차 차체 제조에는 불가결한 용접 기술로 자리매김 되어있다.

 

저항 스폿용접은 겹침부재를 양쪽 전극 사이에 끼워 넣어 양쪽 전극의 통전과 가압과정을 거쳐 접합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조립공정상 양쪽에서 전극을 접근시키는 것이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의 대안으로 편측만의 전극으로 스폿용접이 가능한 시리즈법과 간접 스폿용접법이 개발되어 있다.

 

간접식은 중첩부재에 대해서 한 개의 전극을 한쪽에서 가압하고 격리된 개소에 송전단자를 붙여 통전함으로써 스폿용접이 가능한 방법으로 일반 저항 스폿용접이 불가능한 대형의 패널 부품의 제작 등 그 응용분야가 대단히 다양하다. 그러나 부재의 판 두께, 형상 등에 따라 너깃의 형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 해설논문은 한쪽에서만 전극으로 가압하고 그 반대측은 지지가 없이 중공의 상태에서 편측용접을 시행할 때에 용접 중의 전류, 가압력을 가변제어함으로써 너깃의 형성을 안정화하고 비산을 제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 내용으로 스폿용접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자동차 산업의 기반기술로써 국내의 저항 스폿용접은 로봇채용, 가변전류, 전압 채용 등 다양한 기술이 현장에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스폿용접은 전통적인 직접식에 국한되어 있어, 이 해설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시리즈법이나 간접식 스폿용접은 아직 생소한 기술로 남아있다. 스폿용접기술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이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MATSUSHITA Mune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83(4)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44~248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