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의학 진단·치료용 RI와 새로운 RI 제조법
- 전문가 제언
-
○ 이 보고서에서는 중성자를 이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RI)를 생산하는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일본의 원자력연구개발기구 가속기중성자 이용 RI 생성 기술개발 특별그룹의 Y. Nagai와 K. Hashimoto가 핵의학 진단 및 치료용 RI와 RI의 새로운 제조법을 소개하고 있다. 핵의학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99Mo/99mTC를 중심으로 원자로와 중성자 발생용 가속기의 개발현황 및 응용방법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고 RI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가속기 발생 중성자원의 개발이 시급함을 알리고 있다.
○ OECD/NEA의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공급 안보를 위한 고위급 보고서(High-Level Group on the Security of Supply of Medical Radioisotopes, 2014)”에서도 2015-2017년에 99Mo/99mTC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정적 공급 차질이 우려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2016년 이후에는 RI를 생산해온 캐나다의 원자로 가동이 중단될 예정이고 또한 세계 99Mo/99mTC 수요의 30%를 공급해온 네덜란드의 연구로도 올해 말로 운영허가가 만료될 예정으로 있기 때문에 사태가 심각하다.
○ 우리나라의 부산 기장군에는 2018년 3월에 완공을 목표로 20MWt급 신형 연구로가 건설 중에 있다. 그러나 이를 활용하여 99Mo/99mTC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미국산 저농축우라늄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이에 대한 미국의 동의가 필요하다.
○ 한국방사선진흥협회장 이명철교수는 현재 진행 중인 한미원자력협력협정의 개정 협상에서 이러한 내용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다. 현재 협상에서는 원전수출, 사용 후 핵연료 관리, 원전연료의 안정적인 공급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는데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국내생산 증가를 위한 협상이 필요하다.
○ 또한 핵융합로 블랭킷 연구용의 고강도 14.4MeV 고속중성자 발생장치가 이들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정부는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永井 泰樹, 橋本 和幸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2014(719)
- 잡지명
- Isotope N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13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