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EFC 촉매층 및 주변부재 내부의 현상 평가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에너지 고갈, 환경 문제 등이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화석 연료의 대체방안으로 수소 에너지와 수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료전지가 자동차 산업의 환경규제 극복 등 연관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대체에너지에 대한 미래 투자로 전략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고 연료전지를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으로 지정,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2000년 일본 Ebara Balad사는 가정용 소규모 발전용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를 제조하였고, 2003년에 교류 송전효율 34%, 용정 227ℓ의 1㎾급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개발을 완료했다. 2005년 2월에 Tokyo사와 함께 세게 최초로 가정용 연료전지를 상용화 했다. 이에 앞서 Matzushita Electric사는 1991년부터 수송용 고분자 연료전지(PEMFC) 개발을 시작했다. 2003년도에 교류 송전효율 35%인 소형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2005년 2월에 Tokyo Gas사와 함께 상용화하여 판매하고 있다.

 

연료전지 기술은 수소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로 전환하므로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발전 효율도 40% 이상으로 높아 에너지 절감효과가 매우 크며 수소, 천연가스, 에탄올, 메탄올 등의 다양한 연료를 이용할 수 있다. 차세대 대체에너지 기술로 주목을 모으고 있다. 향후 응용 분야는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 부문과 발전소 등의 전력 부분, 그리고 휴대용 가전제품의 에너지 공급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국내 GS사는 2002년부터 3㎾급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수행하여 2005년 개발을 완료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총 210대의 소형 열병합의 가정용 연료전지를 한국 도시가스사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과 기술표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개발이슈는 연료전지 스택 및 연료공정의 가격감소, 내구성 향상, 막전극 조립체(MEA)를 포함한 핵심부품 및 주변기기의 국산화 과제로 남아 있다.

저자
Gen Inou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54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