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Z91D합금의 미세조직과 동적변형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전문가 제언

자동차를 위시한 수송기기의 연비절감을 위한 경량화의 필요성과 휴대용 컴퓨터와 통신기기 보급으로 경량재료인 마그네슘(이하 “Mg합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Mg합금은 강도가 낮고 쉽게 부식되는 결점이 있어 용도가 제한되고 있다. 본 분석에서 다루고 있는 AZ91D합금은 Mg-(8.3~9.7)%Al-(0.35~1.0)%Zn-0.15%Mn의 조성을 가지며 Al은 강도, Zn은 결정립 미세화, Mn은 내식성 향상에 기여한다.

 

AZ91D합금은 Mg합금 중에서는 강도가 비교적 높지만 항복강도는 140~150MPa에 불과하여 구조부품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처리에 의한 강화가 필요하다. Mg-Al 2원계 상태도에 의하면 Al 13% 이하와 437℃ 이하의 조건에서 금속간화합물인 β- 상이 석출하는 solvus 선이 존재하므로 AZ91D합금의 강화기구로는 β상의 석출강화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분석의 인용논문에서도 용체화처리(T4)와 시효처리를 조합한 T6열처리에 의한 석출제어를 통하여 항복강도가 주조상태에 비하여 43.1%나 개선되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특기할만한 것은 정적변형 뿐만 아니라 높은 변형률속도(strain rate, )에서 동적변형 특성을 측정한 점으로, =4000/s에서 준정적 상태보다 응력이 42%나 증가하고, 의 증가에 따라 석출물의 파괴에 수반하여 에너지 흡수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이다. 에너지 흡수량의 증가는 차량의 충돌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Mg합금의 응용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내의 경우에는 2007년 마그네슘 분야가 포함된 정부주도의 소재원천기술개발 사업을 계기로 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마그네슘 분야의 연구 인력은 많지 않으나 성형가공기술, 신합금 개발, 조직제어, 표면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Mg합금의 고강도화에는 석출강화 뿐만 아니라 결정립 미세화, 고용강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변태 특성과 합금설계에 기초하여 이들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조직제어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저자
DUNG D. LUONG 외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6(2)
잡지명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2~321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