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센서
- 전문가 제언
-
자동차용 센서는 1960년대에 탑재되기 시작하여 제어의 고정밀화, 신시스템 개발에 의해 탑재 수는 증가했다. 자동차 제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엔진제어, 보디제어, 차량제어, 정보통신에 의한 다수의 센서가 여러 가지 물리량과 화학량을 검출하여, 현재 100개를 넘는 센서를 탑재, 고도의 제어를 실현하고 있다. 자동차용 센서의 요구조건은 ① 장시간 내구성이 있고, ② 저비용이며, ③ 소형, 경량이고, ④ 동특성의 양호, ⑤ 내충격성 우수, ⑥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⑦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것 등이다. 초기에는 기계식 스위치가 1980년대에는 MEMS기술과 실리콘반도체기술을 융합하여 소형, 경량, 저비용, 에너지절약, 고속반응을 실현한 센서를 자동차에 탑재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자동차용 압력센서, 가속도센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엔진 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압력센서에는 흡기압센서, 대기압센서, 디젤미세입자필터(DPF)의 막힘을 감시하는 배기압센서, 고압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시스템의 압력을 감시하는 연료압센서, 밸브와 엔진의 서브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하여 엔진오일을 압력을 감시하는 엔진오일압력센서 등 많은 용도의 센서가 있다. (주)Denso에서는 이들 용도에 대응하기 위해 10kPa∼200MPa에서 용도, 검출매체, 탑재환경에 대응한 고정밀, 고신뢰성 압력센서를 1981년부터 제작했다. 흡기압센서는 MAPS(Manifold Absolute Pressure Sensor)라 부르며 엔진에 공기를 취입하는 취입관의 압력을 측정한다. 엔진제어유닛(ECU)에서는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적합한 최적 분사타이밍으로 가솔린의 분사양이 최적이 되도록 인젝터에 피드백한다. 배기압센서는 경도가 다른 겔(gel)을 사용, 겔 표면에 이물질이나 부식물 공격에 대한 내성과 내부는 겔을 사용 응력을 저감시켜 내환경 성능과 고정밀도를 양립시키고 있다. 또한 흡기압센서 수압부의 코어만을 취한 BIPS(Built In Pressure Sensor)라 부르는 모듈은 연료탱크의 누출검사모듈이나 밸브액추에이터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 저자
- Kuzuhara Tageshi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134(3)
- 잡지명
- 電氣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36~139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