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 확보를 위한 리스크론의 중요성
- 전문가 제언
-
○ 여기서는 원자력안전 확보를 위해, 특히 리스크 개념의 중요성, 새로운 리스크 개념의 출현과 이것을 근거로 하는 리스크론의 구체적인 전개로서 현재 진행 중인 안전규제에 관계된 과제와 그 전망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리스크론적인 생각의 중요성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부터 얻은 가장 중요한 교훈이지만 고전적인 리스크의 개념을 확장한 새로운 개념도 언급하고 있다. 또 이들 구체적 실천으로서 안전규제의 과제를 설명하고 규제의 리스크론에 기초한 개혁과 각 주식보유자 간의 소통의 중요성과 연대, 설명을 향상시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리스크관리는 리스크를 특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 특정한 리스크를 분석하여 발생빈도(발생확률, possibility)와 영향도(severity)의 관점에서 평가한 후 발생빈도와 연향도의 적으로서 구해지는 리스크레벨에 따라 강구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말한다. 또 예로 원전사고의 리스크가 실제로 발생하였을 때 리스크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새로운 리스크의 출현에 대해서 현대 공학시스템의 특징을 반영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①완강성(robustness), ②자율성(self-sustainedness), ③동적리스크 관리(dynamic risk management), ④회복력(resilience) 등이 있다.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3년 11월 28일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된 "제6차 한중일 TRM(최고규제자회의)"에서 사건정보 교환체계 구축, 합동방사능 방재훈련 개최 등 3국간 실질적인 원자력안전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에 합의했다. 합의의 의의는 원전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사고발생국과 인접국간 정보교환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문화한 것이다. "합동 방사능 방재훈련을 통한 비상대응능력의 향상을 통해 원전이 밀집한 동북아지역에서 모범적인 원자력안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akada, 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56(4)
- 잡지명
- 日本原子力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0~255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