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브라질 제당산업과 알코올산업에서 수소생산 일체화에 대한 열역학 및 경제적 분석

전문가 제언

브라질은 전통적으로 대규모 사탕수수 재배를 통한 에탄올 생산에서 독보적 지위를 차지해 왔으며 사탕수수는 전체 에너지소비의 16%를 담당하며 가솔린에 이어 제2의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브라질의 에탄올 생산은 1975년 정부의 에탄올 에너지 국가 계획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육상교통에 주로 의존하던 브라질은 1973년과 1979년 두 차례의 오일쇼크를 겪으며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개질(steam reforming)로 알려진 프로세스는 연료전지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술은 특별한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바이오에탄올을 분해함으로써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된 자동차 내에 직접적으로 수소가스를 생성시킨다. 이 방법은 대체에너지 수송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현재의 가솔린 이송구조에서 사용되고 있다.

 

2012년 미국, 일본 그리고 유럽은 니켈을 전해질로 이용한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CFC)를 상용화하였으며 특히 미국은 세라믹을 전해질로 이용한 차세대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의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MCFC 발전시스템은 다른 전원 종류와 비교해 볼 때 CO2, NOx 배출량이 적으므로 환경적합성이 뛰어나다. 또한 폐기물가스나 석탄가스 등 사용연료의 유연성 외에도 고부하 연속운전에도 적합하기 때문에 가까운 장래의 분산전원으로서 더욱이 화력발전을 대체하는 대용량 전원으로도 기대할 수 있다.

 

오는 2015년에는 100% 국산화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최근 300㎾와 2.5㎿ 등 2종류의 용융탄산염 타입의 연료전지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MCFC 타입은 액화천연가스(LNG)는 물론 하수찌꺼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친환경성이 뛰어나다. 또한 서울시는 '원전하나 줄이기 종합대책'으로 230㎿ 규모의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수주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저자
Jose LuzSilvei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30()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69~876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