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용 고성능 소형 알루미늄 용해 보온로「DMF」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은 염가로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을 가진 소형재의 대표적인 제조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주로 자동차 부품으로 알루미늄합금이 다이캐스팅 제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량화와 리사이클 문제로 마그네슘합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이캐스팅 작업은 고온, 고속, 고압의 환경에서 비선형의 열 및 역학적인 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경험이나 직감에 의존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미국 GE의 연구자에 의하여 컴퓨터 해석방법이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82년에 일본에서 시뮬레이션이 실용화되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어려움이 풀려가고 있다.

 

자동차 한 대당 다이캐스팅 부품은 약 100kg이 되며 매년 다이캐스팅 부품 사용량은 증가 추세다. 현재 한국은 자동차산업의 발전으로 다이캐스팅 부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로 기술면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다이캐스팅 분야는 재료의 재질, 금형의 설계 및 재료, 기계의 자동화 및 공법(반용융법, 진공 등) 등 연구할 분야가 많다고 생각되며 본문에서와 같이 에너지 분야에도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국내 다이캐스팅 제조업체는 대부분이 영세하여 이와 같은 연구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생각된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Masahito Mizuka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9(3)
잡지명
型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9~33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